반응형
사랑은 무엇일까요? 다양한 정의가 있겠습니다만, 오늘은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의 정의로 사랑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사랑의 3요소
- 친밀감 : 사랑의 정서적 측면이나 따뜻한 측면, 서로에 대한 믿음이나 유대감
- 열정 : 사랑의 동기적 측면이나 뜨거운 측면, 성적인 욕망
- 헌신 : 사랑의 선택적 측면이나 행동적 측면, 사랑을 지속하려는 의지
3요소에 따른 사랑유형 3
- 우애적 사랑 : 친밀감이 높고 헌신이 강한 형태로 주로 오래된 부부 사이의 사랑을 말합니다. 성적인 욕망은 줄어들지만 서로를 잘 이해하고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낭만적 사랑 : 친밀감이 높고 열정이 강한 사랑입니다. 서로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고 믿음이 있지만 사랑을 지속하려는 의지는 부족한 상태입니다. 사랑을 지속하려는 의지가 강해지면 결혼을 하게 됩니다.
- 짝사랑 : 열정만 강하고 친밀감이나 헌신은 약한 사랑입니다. 상대에게 강한 성적 매력을 느끼지만 헌신이나 친밀감을 형성할 기회가 없어 혼자 짝사랑하는 경우입니다. 보통은 금방 끝나게 됩니다.
이상적인 사랑
친밀감만 강한 경우는 우정, 헌신만 강한 경우는 공허한 사랑, 열정만 강한 경우는 허구적 사랑이라고 합니다. 친밀감, 열정, 헌신을 모두 충족하여 삼각형이 정삼각형에 가까울수록 이상적이며, 삼각형의 면적이 넓을수록, 3요소가 균형을 이룰수록 사랑의 크기가 크다고 설명합니다.
시사점
스턴버그는 이상적인 사랑은 현실에서 없지만 사랑의 형태가 정삼각형으로 변화 유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반응형
'몸마음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식, 음식을 끊다. (0) | 2022.02.22 |
---|---|
살리에르 증후군, 2인자로서의 질투심 (0) | 2022.02.14 |
머리를 자르는 꿈 (0) | 2022.02.13 |
고로쇠 나무 수액 관절염에 좋나요? (0) | 2022.02.13 |
관절염, 치매 등에 좋은 참당귀의 데커신 성분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