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치가 다른 금화와 은화가 동일한 화폐가치로 통용되면 사람들은 가치가 높은 금화(양화)는 소장해 두고, 대신 가치가 낮은 은화(악화)만 사용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순은으로 만들던 동전의 은 함량을 줄인 화폐를 발행하고 그 은을 남겨서 재정을 보충하는 방식을 택했는데요, 이렇게 되자 사람들이 순은(양화)은 집에 고이 모셔두고, 은 함량이 낮은 화폐(악화)만 사용하였습니다. 이 후 토머스 그레셤은 엘리자베스 1세에게 이 현상을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조선 후기에도 비슷한 상황이 있었습니다. 화폐 유통이 잘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자 흥선대원군은 당백전을 유통시켰습니다. 당백전의 명목상 가치는 기존 화폐인 상평통보의 100배였으나 실질 가치는 5~6배에 불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백성 사이에 상평통보는 양화, 당백전은 악화로 자리 매김되엇고, 백성들은 상평통보를 숨겨 놓고 당백전만 통용시키면서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설날이 되면 새돈이 유통이 많이 되는데요, 사람들은 물건을 구입할때 헌 돈만 사용하고 새돈은 사용하지 않아서 시중에 새돈이 계속 마르는 것이 대표적인 그레셤의 법칙입니다.
당장은 버는 듯 보이지만 결국은 모두가 손해를 보는 상황이 되는 것인데요, 인터넷에서 과대 포장과 선전으로 물건들이 깔리면 양질의 상품이 설 자리가 좁아지고 결국 광고를 해서 올려야 하고 그 광고비는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게 되는 다양한 사회 현상을 포함합니다.
반응형
'몸마음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넛지 (Nudge) : 강압이 아닌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 (0) | 2022.01.25 |
---|---|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 theory) : 깨진 유리창의 자동차를 방치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0) | 2022.01.21 |
고슴도치 딜레마 : 친밀함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거리를 두고 싶어함 (0) | 2022.01.20 |
거울 자아 이론 : 다른 사람이 보는 자신의 모습을 흡수하여 자아상을 형성 (0) | 2022.01.20 |
가면 증후군 : 자신의 성공을 노력이 아닌 운 때문이라고 평가절하하는 심리로 주변 사람들을 속여 왔다는 생각에 불안해 한다 (0)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