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마음건강상식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관찰학습(observation learning)

by $㉿☎︎✶✱ 2022. 2. 5.
반응형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란?

인간은 직접적인 경험과 보상을 통해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모방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실험이다. 관찰학습(observation learning)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모법 행동을 한 학생에게 보상을 줌으로써 그 모습을 관찰한 다른 학생들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미국 스탠버드대 심리학 교수인 앨버트 반두라가 1961년 한 실험에서 유래합니다.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실험 설계 1

  • 아이들이 한 사람씩 실험실에 들어간다.
  • 실험실 안에는 어른이 한명씩 있다. 아이는 아이가 노는 구역에서, 어른은 어른이 노는 구역에서 각자 장난감을 가지고 놀이를 한다.
  • 어른에게만 보보인형이 주어지고 어른은 10분간 보보인형을 때린다. 아이는 그것을 지켜볼 수 있다.
  • 다른 장소에서 아이들에게 보보인형을 주자 아이들은 신나게 인형을 때렸다. 특히 어른이 성이 같은 경우 공격 행동이 더 두드러졌다. 동성인 어른의 행동을 더욱 쉽게 모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실험 설계 2

  • 보보인형을 때리는 것을 직접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으로 지켜보게 하였다. 결과는 3가지로 다르게 나타남.
  • 보보인형을 때린 어른이 칭찬과 보상을 받는 것을 본 아이들이 가장 공격적인 모습을 보임
  • 보보인형을 때린 어른이 혼나고 처벌을 받는 것을 본 아이들이 가장 덜 공격적인 모습을 보임
  • 보보인형을 때린 어른이 어떠한 처벌이나 보상을 받지 않는 것을 본 아이들이 중간정도의 공격성을 보임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시사점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보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실제가 아닌 TV나 영화, 게임 등도 아동에게 잠재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본다.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에 대한 이견

실험에 사용된 보보인형 자체가 펀칭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를 가지고 논 것을 가지고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1971년 페시바스와 싱어의 실험에서는 폭력적인 드라마를 본 아동들이 감정적 정화감을 가짐으로 비폭력적 드라마를 본 아동들보다 덜 폭력적이었다는 실험 결과를 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심리학자 로엘 후스만이 일련의 장기간의 관찰 실험을 통해 아동기에 폭력적인 장면에 많이 노출된 사람은 성인이 되어서도 폭력성을 보이기 쉽다는 것이 밝혀지며 반두라의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이 힘을 얻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