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몸마음건강상식59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관찰학습(observation learning)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란? 인간은 직접적인 경험과 보상을 통해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모방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실험이다. 관찰학습(observation learning)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모법 행동을 한 학생에게 보상을 줌으로써 그 모습을 관찰한 다른 학생들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미국 스탠버드대 심리학 교수인 앨버트 반두라가 1961년 한 실험에서 유래합니다. 보보인형 실험(Bobo doll experiment) 실험 설계 1 아이들이 한 사람씩 실험실에 들어간다. 실험실 안에는 어른이 한명씩 있다. 아이는 아이가 노는 구역에서, 어른은 어른이 노는 구역에서 각자 장난감을 가지고 .. 2022. 2. 5. 벽에 붙은 파리 효과(Fly on the wall effect), 메타인지와 깨달음 벽에 붙은 파리 효과(Fly on the wall effect)란? 어떤 일에 실패하거나 좌절했을 때 제삼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자신에게는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제삼자는 좀 더 초연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미국 버클리 대학의 에이덕과 미시건 대학의 크로스가 벽에 붙은 파리로 예를 들며 설명한 것에서 유래합니다. 벽에 붙은 파리(Fly on the wall) 설명 벽에 붙은 파리가 영어권에서는 몰래 타인을 관찰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제3자라는 의미로 해석하면 쉽게 이해가 갑니다. 과거의 나는 '내면 자아'이고 울거나 괴로워하는 나는 '현실 자아'입니다. 그리고 이 두 자아가 만나는 모습을 보는 나는 객관적 자아입니다. 제3자의 입장에서 스스로를 그대로 .. 2022. 2. 2.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 : 가격이 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계층의 허영심이나 과시욕으로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 요즘 백화점 명품관 앞에 길게 늘어선 줄들을 본 적 있을 것입니다. 지속적인 가격 인상에 줄이 더 길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들 여러 가지 복합적인 모습들이겠지만 오늘은 지속적으로 가격이 올라도 사려고 하는 그 심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베블렌 효과(Veblen effect)란? 가격이 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계층의 허영심이나 과시욕으로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고전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와 가격은 반비례한다는 것에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경제학자 베블린은 '유한 계급론'에서 가격이 오르는 물건의 수요가 높아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주로 상류층 소비자에게서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부를 과시하기 위해 값비싼 물건을 소비하는 것을 말합니다. 파노플리 효과와는 .. 2022. 2. 1. 밴드왜건 효과(Band wagon effect) : 대중적으로 유행하는 정보를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 유행하는 브랜드의 옷을 사본 적이 있나요? 특히 학생때 그런 유행을 많이 따랐던 것 같습니다. 한때는 오클리, 버켄스탁 등이 그런 아이템이었고, 또 그 후에는 노스페이스, K2 등의 패딩이 유행하여 전국의 수 많은 학생들이 비슷비슷한 옷을 입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전국의 수 많은 부모님들은 "친구가 입으면 너도 입어야 하냐? 친구가 죽으면 너도 죽을래?" 이런 말들을 하면서도 성화에 못 이겨 옷을 사주셨을 것 같습니다. 이런 유행은 어떤 심리를 기반으로 일어나는지 오늘 알아보겠습니다. 밴드왜건 효과(Band wagon effect)란? 대중적으로 유행하는 정보를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입니다. 곡예단이나 퍼레이드의 맨 앞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는 악대차를 밴드왜건(Band wagon)이라고 합니다... 2022. 2. 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 반응형